혈액순환을 돕는 무릇 효능 9가지와 부작용 서식지 활용법
본문 바로가기
약초 효능

혈액순환을 돕는 무릇 효능 9가지와 부작용 서식지 활용법

안녕하세요:) 여러가지 약초에는 어떤 효능이 있으며 부작용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를 알려드리는 지니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무릇 효능과 부작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헤헷

무릇의 옛 이름은 물읏이며,다른 이름으로는 물구,물굿,물구지,물옷,지란,면조아 등으로 불리우기도 합니다.

무릇의 효능 9가지

첫번째 효능.무릇은 절에서 먹지 못하게하는 오신채인 5가지 매운 채소중 하나로 파,마늘,달래,부추,무릇중 하나로 남자에게 좋은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번째 효능.혈액순환을 원활하게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세번째 효능.팔다리나 허리 쑤시는데에 효능이 있습니다.

네번째 효능.강심과 이뇨작용의 효능이 있습니다.

다섯번째 효능.부어오른 것을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습니다.

 

여섯번째 효능.가래와 당뇨에 효능이 있습니다.

일곱번째 효능.자궁수축 작용의 효능이 있습니다.

여덟번째 효능.동의학사전에서 무릇은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혈을 잘 돌게하고 해독하며 부종을 내리고 통증을 멈춘다.약리실험에서 강심작용,이뇨작용,자궁수축 작용 등이 밝혀졌다.유선염,장옹,타박상,요통,다리통증,석림,산후어혈,부스럼 등에 쓴다.하루 3g-9g을 달여서 먹는다.외용약으로 쓸때는 생것을 짓 찧어 붙인다."고 기록되어져 있습니다.

아홉번째 효능.북한에서 발간한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비늘줄기인 야자고를 캐서 겉껍질을 벗기고 쪄서 말린다.

성분은 비늘줄기와 잎,꽃에 부파디에놀리드(강심 배당제)가 들어가 있다.비눌줄기에 많은 양의 녹말과 점액질이 잇다.동물실험에서 뚜렷한 강심이뇨작용이 있다.석림을 내리고 부스럼을 없애며 갈증을 멈추고 산후 궂은 피가 다 나가지 못하여 정신이 맑지 못한 것과 태가 나오지 않는데 쓴다.

오줌내기약,가래약으로도 쓴다.부파디에놀리드 계통의 감심약을 만드는 원료로서 전망이 있다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무릇의 서식지

무릇은 전국 각지에 널리 분포하며 산이나 들판의 풀밭이나 둑과 같은 곳에서 무리지어서 자란다고 합니다.흔히 알뿌리를 약재로 쓰며 진통효과가 있고,혈액의 순환을 오아성하게하고 부어오른 것을 가기게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무릇 활용법

비늘줄기인 알뿌리와 어린잎을 약한 불로 오래 졸여서 조청으로 만들어 수시로 복용하게되면 강심과 이뇨에 좋습니다.

뿌리를 짓찟어서 환부에 바르게 되면 종기나 유방염에 효능이 있는데,자주 갈아서 붙여주면 됩니다.

비늘줄기와 잎을 술로 담가두었다가 복용하면 강심과 이뇨에 좋습니다.

지상부를 물에 달여서 마시게 되면 치통이나 타박상과 근육과 골격의 통증에 좋으넫 마른 것을 3g-10g을 달여서 하루에 먹으면 좋습니다.

알뿌리를 물에 우려서 그후에 쪄서 먹으면 좋습니다.

알뿌리와 얼니잎을 나물로 무쳐서 먹을 수 있습니다.

무릇의 부작용

무릇은 달래나 마늘과 마찬가지로 황을 함유한 식물로 몸에 열이 많거나 음기가 부족한 소양인 체질의 사람이 많이 먹게되면 뱃속에 가스가 많이 생기고,피부에 염증이 자주 생기고 속이 쓰리게 된다고 합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

Please Enable JavaScript!
Mohon Aktifkan Javascript![ Enable JavaScript ]